Develop/Server
[Server] SabreDAV 인증 구현하기
2020.07.09SabreDAV는 다양한 방법의 인증을 지원합니다. 웹서버 인증, htdigest 인증, 별도의 인증 함수 구현, DB 활용 인증, IMAP 인증이 있습니다. 1. apache2-utils 설치하기 이 글에서 사용할 인증 방법은 htdigest입니다. htdigest는 아파치 서버의 비밀번호 생성/보관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파치 웹서버가 아닌 Nginx 웹서버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htdigest를 따로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htdigest는 apache2-utils안에 포함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 명령을 통해 apache2-utils를 설치해 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apache2-utils 2. htdigest 파일 만들기 위 명령어를 통해 htdi..
[Raspberry Pi_OMV5] 6. OMV5 webdav 설정하기
2020.03.19OMV4에서는 Webdav플러그인을 지원했기 때문에 쉽게 설정할 수 있었지만, OMV5로 업데이트되면서 플러그인이 지원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플러그인에서 사용하던 wabdav소스인 sabre/dav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sabre/dav 다운로드하기 sabre/dav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는 php-composer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먼저 php-composer를 설치해줍니다. SSH 접속을 하여 아래 명령줄을 입력해 줍니다. wget https://getcomposer.org/installer mv installer composer-setup.php php composer-setup.php rm composer-setup.php sudo cp composer.phar /usr..
[Raspberry Pi_OMV5] 5. OMV5 SMB 공유 설정하기
2020.03.16지금까지 설정했던 내용들을 이용하여 진짜 NAS처럼 네트워크 드리이브를 설정해줄 차례입니다. SMB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공유할 것입니다. SMB활성화 하기 OMV 웹 설정 화면에 들어가서 [서비스] - [SMB/CIFS]로 들어갑니다. 일반 설정에 있는 [활성화] 토글을 켜준 뒤 [저장] 버튼을 눌러서 저장해 줍니다. 그리고 SMB 드라이브에서 나타날 공유폴더를 설정해 줍니다. [공유] 탭으로 이동하여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Windows 환경에서만 사용할 계획이라면 다른 설정 없이 사용할 공유폴더만 선택한 뒤 [저장]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하지만 macOS에서 사용할 계획이라면 이 드라이브(공유 폴더)를 타임머신 백업 용으로 사용할지 생각을 해야 합니다. 만약 타임머신 백업을 사용할 것이라..
[Raspberry Pi_OMV5] 4. OMV5 사용자 추가하기
2020.03.06이제 NAS에 접속할 사용자를 추가할 차례입니다. 이 사용자 계정으로 SMB, FTP, SSH를 접근하기 때문에 중요한 작업입니다. 사용자 추가하기 OMV 웹 설정 화면에 들어가서 [접근 권한 관리] - [사용자]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사용자를 추가하고, 그룹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추가]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를 추가해 줍니다. 이름에는 아이디를 입력하고, 셸은 많이 사용하는 /bin/bash로 선택해 줍니다. 그 후 그룹을 관리해 줍니다. 기본적으로 users 그룹은 선택되어 있습니다. 만약에 SSH를 사용할 계획이라면 ssh와 sudo를 추가로 선택 해준 다음 저장 버튼을 눌러서 저장해줍니다. 다음으로 사용자별 홈 디렉토리를 만들어줍니다. [설정] 탭으로 가서 활성화 토글을 켠 후 위치를 '공유폴더..
[Raspberry Pi_OMV5] 3. OMV5 공유 폴더 만들기
2020.03.05파일을 저장하고, SMB 등을 통해서 공유하기 위해서는 공유폴더를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공유폴더는 그냥 HDD에 폴더를 만드는 것과 동일하지만, OMV에서 서비스들(SMB, FTP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공유폴더로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공유 폴더 만들기 OMV 웹 설정 화면에 들어가서 [접근 권한 관리] - [공유 폴더]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OMV에서 사용할 폴더들을 만들어주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추가] 버튼을 눌러서 폴더를 추가해 줍니다. 이름에는 사용할 폴더 명을 입력하고, 장치에는 폴더를 만들 디스크를 선택해 줍니다. 그 후 경로를 설정해준 뒤 저장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공유폴더가 만들어집니다. 같은 방법으로 home이란 공유폴더를 만들어 줍니다. 경로는 home/으로 해주세요. 이 폴..
[Raspberry Pi_OMV5] 2. OMV5 HDD설정하기
2020.03.04OMV5의 기본 설정하는 부분은 이전 버전인 OMV4와 차이가 없으므로 기본 설정은 다음 글을 참고해 주세요. [Develop/Raspberry Pi] - [Raspberry Pi_OMV] 2. OMV 기본 설정하기 [Raspberry Pi_OMV] 2. OMV 기본 설정하기 OpenMediaVault 기본 설정하기 이전글에서 OpenMediaVault를 설치하였습니다. 아직 OMV를 설치하지 않았다면 먼저 OMV를 설치하고 와주세요. [Raspberry Pi_OMV] 1. OMV 설치하기 [Raspberry Pi_OMV] 1. OMV 설치.. blog.jeuke.com OMV5는 아직 많은 플러그인을 지원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ocker를 이용해서 필요한 기능을 ..
[Raspberry Pi_OMV5] 1. 라즈비안과 OMV5 설치하기
2020.03.03라즈비안의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OpenMediaVault(이하 OMV)의 버전이 4에서 5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동시에 라즈베리파이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 이미지를 제공해 주었지만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설치 이미지가 사라지면서 설치 방법이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바뀐 설치법에 따라 라즈베리파이에 OMV5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라즈비안 설치하기 OMV5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라즈비안이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라즈비안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라즈비안 다운로드 라즈비안은 Desktop 버전과 Lite 버전으로 나뉘는데, 단순히 서버로만 활용할 계획이라면 Lite 버전으로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다운로드한 라즈비안 이미지를 SD카드에 넣어주어야 합니다. 아래..
[Raspberry Pi_OMV] 3. NAS 구성하기
2019.07.05외장하드를 통해서 NAS 구성하기 OMV에서 외장하드 마운트는 Debian보다 간편하게 되어있습니다. 웹 콘솔에서 클릭 몇 번이면 포멧부터 마운트까지 모두 가능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외장하드 연결과 Webdav 설정, AFP 설정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AFP를 통한 타임머신 서버를 만드는 것 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외장하드 연결 라즈베리파이에 외장하드를 연결해 줍니다. 그 후 웹 콘솔에 접속하여 로그인해 줍니다. '디스크'탭에서 연결한 외장하드가 제대로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해 줍니다. 연결한 외장하드의 정보가 표시된다면 제대로 연결된 것입니다. 이것을 이제 마운트해 주어야 합니다. 저는 외장하드를 나스에서 많이 사용하는 btrfs파일 형식으로 포멧하였습니다. 외장하드의 파티션의 제대로 나타나는..
[Raspberry Pi_OMV] 2. OMV 기본 설정하기
2019.07.04OpenMediaVault 기본 설정하기 이전글에서 OpenMediaVault를 설치하였습니다. 아직 OMV를 설치하지 않았다면 먼저 OMV를 설치하고 와주세요. [Raspberry Pi_OMV] 1. OMV 설치하기 [Raspberry Pi_OMV] 1. OMV 설치하기 OpenMediaVault를 이용한 NAS 만들기 이전에 Raspberry Pi를 이용하여 NAS 만들기를 진행한적 있었습니다. 그때는 OMV 설치가 되지 않는 오류 때문에 OMV가 아닌 Debian을 이용했었죠. 하지만 이번에 다시 OMV를.. blog.jeuke.com 이제 SSH설정부터 시간대, 로그인 비밀번호 등을 설정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OMV 기본설정하기 OMV 웹 콘솔에 들어가서 로그인을 해줍니다. 기본 아이디와 비..
[Raspberry Pi_OMV] 1. OMV 설치하기
2019.05.20OpenMediaVault를 이용한 NAS 만들기 이전에 Raspberry Pi를 이용하여 NAS 만들기를 진행한적 있었습니다. 그때는 OMV 설치가 되지 않는 오류 때문에 OMV가 아닌 Debian을 이용했었죠. 하지만 이번에 다시 OMV를 설치했을 때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기 때문에 설치 방법과 설치 후 구성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앞서 포스팅 되어있는 Debian을 이용한 구성과 큰 차이점은 없고, 웹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간편하지만, 더 많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몇가지 설정을 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OpenMediaVault버전의 NAS구성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OMV? OpenMediaVault? 그게 뭔데? OpenMediaVault(이하 OMV)는 리눅..
[Raspberry Pi] 11.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CUPS 외부연결 가능하게 하기
2019.02.08프린터를 외부에서 사용하기위해서포트포워딩으로 631 포트를 열어 주어도 개인 도메인을 사용하거나 공인 IP로 접속하여도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CUPS 외부연결 활성화 하기 CUPS 는 Apache를 사용합니다.그래서 CUPS의 설정파일은 Apache의 문법을 따릅니다 처음에 CUPS는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통해서 접속되는 것만 표시되도록 되어있습니다.그래서 접속할 때 어떤 도메인을 입력하여 접속을 했는지를 구분하여내부IP를 이용해서 접속할 때만 CUPS가 뜨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CUPS 설정에ServerAlias *구문을 넣어주면 됩니다. ServerAlias 는 Apache에서 웹페이지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닉네임을 지정하는 것입니다.이것을 와일드 카..
[Raspberry Pi] 10.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프린트서버 만들기 (CUPS)
2019.01.31필자가 사용중인 프린트는 삼성전자의 MJC-5750이라는 프린터입니다. 이 프린트는 네트워크 프린트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구형 프린터입니다. 그래서 CUPS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프린트 기능을 만들어 볼것입니다. CUPS CUPS는 Common Unix Printing System의 약자로 Apple이 만든 프린팅 서비스입니다. 사용하려는 프린트가 리눅스에서 프린트를 지원하거나, CUPS 지원 프린트여야 합니다. 혹은 대체할 수 있는 타 프린터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CUPS 설치$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cups CUPS 패키지를 설치해 줍니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https://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631/admin 위 주소로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