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글에서 zsh를 설치하고 나서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강력한 zsh의 기능을 사용해 볼 차례입니다. 기본적으로 zsh에는 많은 플러그인이 설치되어있습니다. 이 중에서 원하는 것만 실행시켜도 되고, 여기 없는 것은 따로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플러그인 활성화 하기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플러그인 들은 ~/.oh-my-zsh/plugins 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 명령어를 통해 기본 설치되어 있는 플러그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s ~/.oh-my-zsh/plugins 플러그인 활성화는 .zshrc 설정파일에서 할 수 있습니다. .zshrc 파일에서 아래와 같이 적힌 부분에 사용할 플러그인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처음 설치하면 플러그인은 git만 활성화되어 있을 것입..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쉘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대부분의 리눅스에서는 bash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았을 것입니다. bash쉘도 잘 활용하면 강력한 쉘이 될 수 있지만, zsh는 bash와 명령어가 대부분 호환이 되고 더 좋은 기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폴더나 파일에 접근할 때 '/var/www/html'로 접근할 때 '/v/w/h'만 입력하고 탭을 누르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1. zsh 설치하기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zsh 위 명령어를 통해 zsh를 설치해줍니다. zsh --version 위 명령어를 입력해서 zsh가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해 줍니다. 그리고 zsh를 기본 쉘로 변경해 줍니다. chsh -s /usr/bin/zsh 터미널..
윈도우가 업데이트되면서 명령 프롬프트의 콘솔 모드는 '새로운 콘솔 모드'와 '레거시 콘솔 모드', 2가지 모드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폰트 문제 등의 이유로 레거시 콘솔 모드를 사용하다가 SSH연결 후 bash의 제대로 된 표시를 위해 새로운 콘솔 모드로 바꾸었을 때 콘솔에 아무 글씨가 나오지 않는 문제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래서 기본값을 누르면 돌아오지 않을까는 생각에 기본값을 눌러도 되돌아오지 않아 당황스러운 경우가 생기는데요. 이는 콘솔의 실험적 기능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콘솔의 실험적 터미널 기능 이 기능은 Windows 10의 19H1업데이트에서 추가된 기능입니다. 콘솔 배경과 글씨를 좀 더 자유롭게 바꿀 수 있고, 커서의 모양을 바꾸는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하지만, 레거시 콘솔 모드..
대부분의 메일함은 메일 주소 1개에 메일함 1개로 사용이 됩니다. 그래서 하나의 메일 주소를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된다면 중요한 내용을 주고받은 메일과, 카드 명세서 메일, 광고 메일, 뉴스레터 등 다양한 메일이 섞여있게 됩니다. 이런 불편함을 없애주기 위해서 네이버와 다음, 구글 등 다양한 메일 서비스 제공사에서는 카테고리 자동 분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자동 분류 기능이 종종 내가 원하는 것과는 다르게 분류되기도 합니다. Gmail 계정을 가지고 있다면 여러 메일 주소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점(.)과 더하기(+)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1. 점을 활용한 사용자 이름 구분하기 Gmail은 사용자 이름 안에 있는 점(.)은 문자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용자 ..
요즘 어디를 가든지 와이파이가 모두 존재합니다. 하지만, 집에서 계속 사용하던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손님이 왔을 때 알려주지 못하는 상황도 종종 생깁니다. 이럴 때 Windows 컴퓨터에 와이파이가 연결되어 있다면 쉽게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컴퓨터에서 연결된 와이파이 비밀번호 찾기 Windows 10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Windows 10의 시작 표시줄에 Wi-Fi를 설정할 수 있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누르면 Wi-Fi 목록들이 뜹니다. 저기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열어줍니다.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어판으로 들어가야 하지만 최근 Windows 10이 업데이트되면서 UWP앱 설정이 열리게 됩니다. 그래서 [어댑터 옵션 변..
Windows를 설치하여 사용하다보면 부팅할 때 Windows 로고 혹은 컴퓨터(노트북) 제조사의 로고가 뜹니다. UEFI 방식으로 Windows가 설치된 컴퓨터(노트북)은 제조사 로고가 뜹니다. 이제 이 제조사 로고를 본인이 원하는 로고로 변경해 봅시다 주의, 바이오스 설정에 있는 보안부팅(Secure Boot) 옵션이 꺼져 있어야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HackBGRT HackBGRT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손쉽게 부트 로고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먼저 아래 링크에서 HackBGRT를 다운받아 주세요 다운로드 다운된 압축파일을 편한곳에 압축을 풀어줍니다. 압축이 풀어서 나온 파일들 중 splash.bmp 파일을 그림판으로 열어 편집해 줍니다. 자신이 원한는 로고를 넣어서 편집해 주면 됩니다. 그리고..
Windows 10으로 오면서 추가된 기능으로 Microsoft Store가 있는데요 MacOS의 App Store와는 달리 간편하게 exe파일의 배포만으로도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고 스토어에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있지 안아서 초기에는 많은 사용이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이 스토어에 여럿 올라오면서 스토어에 있는 숨은 꿀 유틸리티를 찾는것도 하나의 재미가 되어었습니다. 그럼 제가 찾은 5가지의 Microsoft Store 애플리케이션을 소개시켜 드리겠습니다. 1. 카카오톡 UWP 다운로드 대부분의 한국사람들은 카카오톡 메신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설치형 Windows용 카카오톡이 있긴하였지만, 이 버전은 Store에 올라간 UWP 버전입니다. 이 글을 작성 중인..
MacOS의 검색기능인 Spotlight를 보면 사진과 같이화면 중앙에 떠서 조금 더 몰입하여 볼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Windows 10에서 이와 같은 몰입형 검색화면을 만들어 봅시다 Windows 10 검색 Windows 10의 검색은 작업표시줄의 시작버튼 옆 검색 버튼이나 단축키 [Win]+[S]을 통하여 검색을 띄울 수 있습니다. 사진과 같이 시작화면이 뜨는 곳과 같은 위치에 검색이 나타납니다. 이를 아래 사진과 같이 몰입형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레지스트리 편집이 필요합니다. MacOS의 Spotlight처럼 변경하기 우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어줍니다. 실행에서 regedit을 입력하여 레지트스트리 편집기를 열어줍니다. 그 다음 아래 경로로 이동해 줍니다.컴퓨터\HKEY_CURRENT_USER..
안녕하세요? Windows 10을 사용하다 보면 로그온 시 비밀번호 입력이 번거롭고 귀찮아서 사용자 계정에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항목에 체크를 해제한 뒤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그런데 저 문구를 보면 “사용자 이름과 암호”라고 젹혀있는데요, 왜 Windows 10 로그온에는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는 항목이 없을까요? 기존 Windows 10의 로그온 화면은 아래 사진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이제 아래 사진과 같이 사용자 명을 입력하는 부분을 만들어 봅시다. Windows 10 로그온 시 사용자 명 입력하게 변경하기 저렇게 만들기 전에 자신이 어떤 사용자 명을 설정하였는지 확인을 하고 변경을 해야합니다. 실행을 통해 ‘netplwiz’를 입력하여 사용자 계..
Windows 10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Part 1. 설치 USB 만들기 Part 2. Windows 10 설치하기 준비물 Windows 10 설치 USB(혹은 DVD) Windows 10 설치하기(UEFI 방식)컴퓨터에 Windows 10 설치 디스크를 넣고 컴퓨터를 켤 때 바로 [F8]을 눌러 부팅 순서를 Windows 10 설치 디스크로 선택해 줍니다. (USB를 이용하면 USB를 선택, DVD를 이용하고 있다면 DVD선택)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었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다음을 눌러줍니다. 지금 설치를 눌러 설치를 진행해 줍니다. 제품 키를 입력하고 다음을 눌러줍니다. 전에 정품 Windows 10이 설치 되었던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에서는 저 단계는 자동으로 넘어..
Windows 10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Part 1. 설치 USB 만들기 Part 2. Windows 10 설치하기 (링크) Windows 10을 설치하는 방법에는 CD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과 USB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으로 총 2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USB를 이용한 설치 방버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준비물 8GB 이상의 USB, Windows 10 미디어 생성 도구 Windows 10 미디어 생성 도구 다운로드 링크 위 링크에 들어가서 아래 사진에 있는 것 처럼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눌러서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그리고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 시킵니다. 설치 USB 제작하기 ※ 설치 미디어를 만들게 될 USB는 포맷이 되기 때문에 사전에 안에..
종종 Windows 7에서 Windows 10으로 오신 분들 중 "Windows 7 처럼 작업표시줄을 투명하게 할 수 없을까?" 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물론 Windows 10 에서는 기본적으로 작업표시줄을 투명하게 할 수 있습니다.Windows 10 기본 기능(투명성 효과) 먼저 [시작버튼]을 눌러 [설정]에 들어가 주세요 그 후 [개인 설정]에 들어가 주세요 [개인 설정] 안에 있는 [색] 탭에 들어갑니다. [색]탭에서 아래로 내리다보면 [투명성 효과]가 있습니다. 이것을 켜 주시면 작업표시줄이 투명해 집니다. 우측 작업표시줄이 투명성 효과를 활성화 시킨 것이고, 좌측 작업표시줄이 투명성 효과를 비활성화 한것 입니다. 비교적 투명해 지긴 했지만, Windows 7 때 처럼 많이 투명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