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verrypi
[Raspberry Pi] 11.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CUPS 외부연결 가능하게 하기
2019.02.08프린터를 외부에서 사용하기위해서포트포워딩으로 631 포트를 열어 주어도 개인 도메인을 사용하거나 공인 IP로 접속하여도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CUPS 외부연결 활성화 하기 CUPS 는 Apache를 사용합니다.그래서 CUPS의 설정파일은 Apache의 문법을 따릅니다 처음에 CUPS는 자신의 아이피 주소를 통해서 접속되는 것만 표시되도록 되어있습니다.그래서 접속할 때 어떤 도메인을 입력하여 접속을 했는지를 구분하여내부IP를 이용해서 접속할 때만 CUPS가 뜨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CUPS 설정에ServerAlias *구문을 넣어주면 됩니다. ServerAlias 는 Apache에서 웹페이지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닉네임을 지정하는 것입니다.이것을 와일드 카..
[Raspberry Pi] 10.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프린트서버 만들기 (CUPS)
2019.01.31필자가 사용중인 프린트는 삼성전자의 MJC-5750이라는 프린터입니다. 이 프린트는 네트워크 프린트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구형 프린터입니다. 그래서 CUPS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프린트 기능을 만들어 볼것입니다. CUPS CUPS는 Common Unix Printing System의 약자로 Apple이 만든 프린팅 서비스입니다. 사용하려는 프린트가 리눅스에서 프린트를 지원하거나, CUPS 지원 프린트여야 합니다. 혹은 대체할 수 있는 타 프린터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CUPS 설치$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cups CUPS 패키지를 설치해 줍니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https://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631/admin 위 주소로 들..
[Raspberry Pi] 9.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NextCloud 설치(2)
2019.01.30DB 설치 및 설정 NextClou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B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그 DB프로그램으로 MariaDB를 골랐고, MariaDB를 설치해 줍니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mariadb-server MariaDB를 처음 설치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보안 설정을 해줍니다. $ sudo mysql_secure_installatioin 위 명령줄을 실행하면 몇가지 질문을 통하여 보안설정을 합니다. Enter current password for root: MariaDB를 처음 설치했기 때문에 그냥 엔터를 통해 넘어가 줍니다. Ser root password? Y를 입력하여 루트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New password: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Raspberry Pi] 8.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NextCloud 설치(1)
2019.01.25NextCloud NextCloud는 구글 드라이브나 Mega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파일을 사용하고, 공유하고, 업로드 하고 휴대시기기에서 촬영한 사진을 자동으로 백업하는 등 많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모 사이트 위의 데모 사이트에서 전체적인 기능을 미리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서브도메인 만들기 NextCloud를 접속하기 위한 서브도메인을 만들어 줍니다. cloud.example.com을 만들었다는 것으로 가정하여 강좌를 이어갈 것입니다. 도메인과 서브도메인에 대한 내용은 5강. DNS와 도메인을 참고해 보세요. TLS 인증서 https의 보안연결을 위해서는 TLS인증서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앞선 강좌부터 차례로 했다면 TLS 인증서는 발급되어 있을 것입니다. T..
[Raspberry Pi] 7.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Nginx 설치
2019.01.24Nginx 웹사이트, 클라우드 등을 만들기 위해서는 웹 서버가 필요합니다. 아파치, Nginx 등 다양한 웹 서버 중에서 가벼운 Nginx 를 설치하겠습니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nginx 위 명령줄을 이용하여 Nginx를 설치해 줍니다. Nginx 서버 블록 Nginx 에서 웹 사이트의 설정은 'server { }' 형태로 구성됩니다. 이것을 서버 블록이라고 부릅니다. Nginx에서 서버 블록 파일은 /etc/nginx/sites-available/ /etc/nginx/sites-enabled/ 위 두가지 경로에 위치합니다. sites-available 경로에 있으면 웹 사이트를 나타낼 준비는 되었지만, 작동은 하지 않는 상태이고, sites-enabled..
[Raspberry Pi] 6.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TLS 인증서
2019.01.23TLS 인증서 지금까지 따라왔다면 도메인이 서버에 연결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 도메인의 보안상태를 인증해 주기위해 TLS 인증서를 발급 받을 수 있는데 이 인증서는 웹페이지의 HTTPS 연결 뿐만아니라 FTPS 등 다양한 연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ertbot을 이용한 인증서 발급 $ sudo apt-get install git TLS 인증서를 발급하는 Certbot을 Git에서 받아와야 하기 때문에 Git을 설치해 줍니다. $ git clone https://github.com/certbot/certbot $ cd certbot Git에서 Certbot을 받았다면 다운받은 경로로 이동한 다음에 인증서를 발급해 줍니다. 지금 발급 받는 인증서는 와일드카드 인증서로 서브도메인마다 인증서를 발급받을 필..
[Raspberry Pi] 4.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SSH 원격 연결 설정
2019.01.21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SSH를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SSH가 설정되어 있을 수 도 있지만, 설치한 라즈비안의 버전에 따라 SSH가 설정 되어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SH 설치하기 기본적으로 SSH를 사용할 수 있게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 도 있기때문에 SSH연결 프로그램(OpenSSH Server)를 설치해 줍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설치가 끝났다면 바로 22번 포트를 이용하여 SSH를 연결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SSH를 연결하기위한 포트를 변경하거나 접근 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따로 설정 작업이 필요합니다. ..
[Raspberry Pi] 3.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하드디스크 연결
2019.01.17외장하드 연결을 위한 전력 설정 외장하드의 연결은 라즈베리파이에서 기본 설정되어 있는 전력 설정보다 전력을 많이 사용하기에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 옵션을 변경하여 변경을 해야한다. $ sudo nano /boot/config.txt 위 파일을 열어 아래의 내용을 추가해 준다. 이 내용을 추가하면 하르베리파이의 허용전류를 2A 까지 늘려준다. max_usb_current=2 safe_mode_gpio=4 저장한 이후 리부팅을 해준다. $ sudo reboot 연결된 하드디스크의 확인 lsblk명령어를 이용하면 현재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들을 볼 수있다. $ sduo lsblk 위 명령줄을 입력하면 아래 사진과 비슷하게 현재 라즈베리파이에 연결된 디스크들의 탑제지점, 용량, 이름 등의 정보가 나온다 용량 등의 ..
[Raspberry Pi] 2.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OS 설치 / 설정
2019.01.16사용할 OS의 선택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운영체제의 종류에는 우분투, 윈도우 10 IOT, 데비안(라즈비안)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리고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나스를 만드는 사람을 위해 데비안(라즈비안)에 추가 기능을 넣어 만든 OpenMediaVault도 있다.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나스를 제작할 때 많은 사람들은 OVM을 많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필자는 부팅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데비안(라즈비안)을 이용하여 직접 구축하기로 하였다. 라즈비안 다운 및 부팅 SD 카드 생성 라즈비안을 다운받을 때는 3가지의 선택지가 있다. 라즈비안 다운로드 사이트에 가면 링크 데스크탑 버전 데브크탑 버전 + 추천 소프트웨어 라이트(명령줄 만 있음) 위의 3가지의 선택지가 있다.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
[Raspberry Pi] 1. Raspberry Pi 3 B+ 나스 만들기 - 계획
2019.01.15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나스 만들기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개인 서버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그래서 시놀로지 등 NAS 제품을 알아보기도 하였고, 집에 남는 노트북을 이용하여 헤놀로지나 우분투 서버를 이용하여 서버를 만들어 사용해 보기도 하였다. 하지만, NAS 제품의 가격과 구형 노트북의 공간 차지 등의 이유로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해 보자는 계기로 시작되었다. 준비물 라즈베리를 이용한 NAS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Raspberry Pi 3 Model B+ 방열판 케이스 어댑터 외장하드 LAN 케이블 HDMI 케이블 (처음 부팅하여 설정할 때 필요하다) 모니터 (처음 부팅하여 설정할 때 필요하다) 키보드 (처음 부팅하여 설정할 때 필요하다) 가 준비되어야한다. 필..